재테크 부업 투자

클레이튼 소개

벅버가 2021. 3. 16. 17:37

안녕하세요. 

블록체인을 소개하는 블로거 달스 입니다~

오늘 Super Community 미션이 클레이튼(Klaytn)이라 반갑더라고요. 클레이튼(Klaytn)은 여러분이 잘아시는 (주)카카오에서 만든 디앱(Dapp: 분산애플리케이션) 제작을 위한 블록체인 플랫폼 입니다. (주)카카오에서 직접 만든것은 아니고 자회사인 "그라운드X"에서 한국 IT기술로 만든 플랫폼 입니다.

 

클레이튼 첫화면 

 

클레이튼을 만든 그라운드X는 (주)카카오의 블록체인 R&D 담당 계열사 입니다. 카카오는 그라운드X를 통해 기업형 블록체인 플랫폼을 개발 및 제공 확대하려 하고 있습니다. 클레이튼은 카카오와는 독립적인 퍼블릭 블록체인 (Public Block chain) 플랫폼이며 이더리움에 비해 비해 탈중앙화를 약화시키는 대신 디앱에 상용화, 확장성 및 실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카카오에서는 댑(Decentralized Application)보다는 뱁(Blockchain Application)이라 부름 

* 퍼블릭 블록체인 (Public Blockchain) : 대중에게 오픈된 블록체인 서비스, 오픈, 확장가능, 소스공개 등의 특징 

* 프라이빗 블록체인 (Private Blockchain) : 기업, 기관에서 특수인 또는 해당 인원만 권한 부여, 접근가능 한 폐쇄형 블록체인 

 

최초 클레이튼의 지향하는 서비스는 모든 참여자가 참여가능한 플랫폼이였으나(완전한 분산형 시스템) 속도, 의사결정 등에서 문제가 있어 완전분산된 블록체인이 아닌 일부분사된 (Semi-decentralized) 방식을 통해 확장성, 속도 등 다양한 서비스 실행이 가능한 플랫폼으로 방향을 잡았습니다. 클레이튼은 일반유저와 개발자가 편리하게 블록체인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두었습니다. 따라서 어려운 개발자 언어, 접근하기 어려운 블록체인이 아니라 일반 사용자들에게 친숙한 블록체인을 위해 UI, UX, 디자인, 기업형 애플리케이션 등 새로운 형태의 블록체인 서비스를 개발 했습니다. 

 

위와 같이 운드X는 클레이튼을 통해 모든 사용자들이 카카오톡을 사용 하듯이 블록체인을 어렵게 생각치 않고 실생활에서 사용하며 또한 기업에게도 블록체인 참여가 가능하도록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입니다.

 

이런 클레이튼에 연동되어 발행된 코인이 바로 클레이 (Klay) 입니다. 왜 요즘 '친구초대 하면 2클레이'라고 많이들 받으셨지요? 클레이튼은 클레이를 통해 사용자들이 카카오톡 내 다양한 활동을 통해 클레이(Klay)를 얻어 거래소에서 자유롭게 환전하며 활용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크레이(Klay)는 찰흙의 Clay에서 카카오의 K만 변경하여 만들었습니다. 클레이는 이밖에도 클레이튼 기반의 모든 뱁에서 현금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클레이튼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플랫폼이 등장한다면, 카카오 계열 어플 뿐만아니라 여러 클레이튼 기반 기업의 플랫폼에서도 클레이를 장벽없이 사용, 보상, 거래가 가능합니다. 요즘 가장 핫 'HOT' 한것이 Defi (Decentralized finance), NFT (Non-Fungible Token: 대체불가토큰) 입니다. 클레이는 현재 디파이 생태계를 구축하였으며 더욱 발전해 갈것 입니다. 또한 NFT 분야가 급성장 하므로 분명히  NFT 분야도 진출할것으로 생각이 됩니다. 예를 들어 카카오 이모티콘? ㅋㅋㅋㅋ

 

 

                                                      

                                                       클레이튼 대단합니다!!!

 

이번 게시글에서는 설명하지 못했지만 다음에는 클레이튼 스왑, Defi, 클레이튼 스테이킹, 거버넌스 KSP 에 대해 자세히 설명 하겠습니다.

 

클레이튼 주요 일정 

1) 2018년 또는 이전 : 그라운드X 설립(싱가포르), 퍼블릭 세일이 아닌 프라이빗 세일로 ICO 진행(기업, 투자자 대상)  

2) 2018년 9월 : 업비트 개발자 컨퍼런스(UDC) 행사에서 클레이튼 소개 발표 

3) 2018년 10월 : 파트너 대상 클레이튼 테스트넷 버전인 '아스펜(Aspen)' 오픈 및 소스코드 공개 

4) 2019년 6월 : 클레이튼 메인넷 (Cypress) 공개

5) 2020년 이후 ~ 카카오내 지갑 클립(Klip), 클레이튼 지갑(Kaikas) 공개(모바일용, 크롬브라우저 확장 프로그램) 

 

메인넷 Cypress 

사이프러스는 퍼블릭 블록체인 입니다. 메인넷 이전에 클레이는 아직 완전한 클레이 코인이 아닌 토큰의 개념입니다. 클레이튼은 메인넷을 통해 비로서 자체 코인을 발행 유통하는 것 입니다. 그 결과물이 지금의 클레이(Klay) 인 것입니다. 메인넷 사이프러스는 오픈소스로 공개되었으며 누구나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 합니다. 블록 생성시간이 1초에 불과해 다른 블록체인에 비해 대기시간을 낮추고 확장성을 높인것이 특징입니다. 메인넷 Cypress의 목적은 기업이 바로 사용할 수 있고 서비스 중심으로 운영하는 것입니다. 

 

메인넷의 의미

  • 독자적인 네트워크 구축 가능 : 자신만의 독자적인 네트워크 구축 (메인넷을 하지 않으면 타 네트워크의 댑으로써 동작 만 가능, 자신만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면 독자적 기능 수행 가능) 
  • 기술력 : 자체적인 플랫폼을 운영할 수 있음을 증명 
  • 자본력 : 메인넷을 유지하고 개발할 수 있는 자본력 증명 
  • 기술력과 신뢰성 : 기업에는 투자자들에게 기술력과 신뢰를 줌으로써 투자 유치 
  • 가치상승과 확장성 : 새로운 디앱에 대한 개발과 생태계 구축으로 기업의 가치상승과 확장성 가능 

 

그럼 누가 있는지 알아 볼까요? 

 

  1. 한재선

  클레이튼의 최고경영자(CEO) 입니다. 과거 퓨처플레이사의 최고기술경영자로 재직 당시 카카오 세미나에서 카카오    와 처음 인연을 가졌습니다. 이후 ㈜카카오로부터 블록체인 관련 사업을 함께 하자는 제의를 받았고 한재선 CEO는      카카오라는 그릇을 보고 글로벌 시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무대가 될 것이라는 확신이 있어 지금 그라운드X의 CEO      로 일하게 되었습니다. 

 

  2. 배상언 

  클레이튼의 제품관리책임자(Head of Product) 입니다. IT업계 최고 회사의 다양한 소프트웨어 개발 경험 및 프로젝      트 관리 경험을 자졌습니다. 현재 블록체인 생태계를 실제 생활에 적용시키기 위해 제품관리책임자로 일합니다. 

 

  3. 서상민 

  그라운드X의 기술책임자(CTO) 입니다. 서상민은 고성능, 확장성 및 서비스 친화성에 중점을 둔 클레이튼 개발을 이      끌고 있습니다. 이전에는 아르곤국립연구소의 보조 컴퓨터 과학자와 삼성 리서치의 선임 엔지니어로 일했습니다. 

 

파트너

크레이는 백그라운드가 아주 죽입니다. 그래서 인지 파트너사도 엄청 납니다. 우선 클이튼 거버넌스 위원회(Klayton Governance Council)를 출범시켰고 한국의 기업인 셀트리온, LG전자, LG상사, LGU+, 넷마블 등과 글로벌 기업을 포함하여 23개가 참여하고 있다. 또한 클레이를 기반으로 하는 여러 회사에서 뱁(Bapp)을 이용한 사업을 진행하거나 진행 예정에 있습니다. 

 

[클레이튼 거버넌스]


 

[클레이튼 생태계]

 

[클레이튼 기반 뱁(Baap)]

출처 : https://www.klaytn.com/

 

2021년 클레이튼은 성능, 보안 및 생산성을 통해 주류에 다가가는 것이 목표 입니다. 이를 위해 아직 대중에게 생소한 블록체인을 소개하고 자연스럽게 다가갈수 있는 노력을 할 것 입니다. 앞으로 클레이튼 많이 기대 하시기 바랍니다. 

 

클레이튼에 대한 정보 및 다른 코인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유익한 커뮤니티방이 있어 소개 드립니다. 

바로 CIC커뮤니티 방입니다. 커뮤니티 사이트 오픈시 다양한 이벤트 및 혜택이 주어지니 참여해주세요~

 

https://open.kakao.com/o/gTaeZTK 

클레이튼, PER 코인커뮤니티2

클레이튼,PER코인 정보방

open.kakao.com

 

끝까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